1. 당신의 기술과 전문적 지식을 이용해 소비자의 일반적인 행동에 맞춘 더 나은 제품을 만들려고 애쓰지 말고, 사용자 자신이 행동을 바꾸도록 유도하여 제품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는 없는지 실험해 보라.
2. 어떤 제품의 미래가 리마커블할 것 같지 않을 때-
사람들이 다시 한 번 그 제품에 열광하는 일이 벌어질 것 같지 않을 때 -
그때가 바로 게임의 법칙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때이다. 죽어가는 제품에 투자하지 말고, 거기서 생긴 이익을 가지고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데 투자하라.
3. 어떤 제품이 뜨는 건 결코 우연이 아니다. 아이디어바이러스가 생성되는 건 대개 바이러스의 모든 요소들이 잘 조화됐을 때이다. 얼마나 매끄럽고(smooth)손쉽게 당신의 아이디어를 퍼뜨릴 수 있는가? 얼마나 자주 스니저들이 주변에 아이디어를 전파하는가? 당신이 표적으로 삼고 있는 집단은 얼마나 결속력이 강하고 의사 소통이 활발한가? 그들은 서로를 신뢰하는가? 당신의 아이디어를 유포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은 평판이 좋은가? 아이디어는 얼마나 지속적(persistent)인가? 금세 퍼졌다가 사라져 버리는 일시적 유행 같은 것인가, 아니면 오래 지속되는 아이디어인가(그래서 시간을 두고 아이디어를 퍼뜨리는 데 투자할 만한가)?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당신의 신제품 개발 전략을 수립하라. 그러면 어떤 제품이 대박이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지 알게 될 것이다. 이런 제품과 아이디어야말로 시장에 내놓을 만한 가치가 있다.
4. 고객을 차별하라. 가장 많은 수익을 안겨주는 집단을 찾아라. 스니저 경향이 가장 강한 집단을 찾아라. 이 두 집단을 육성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광고하고, 보상하는 방법을 생각해 내라. 나머지는 무시하라. 당신의 광고를(그리고 당신의 제품도!)일반 대중의 입맛에 맞출 필요가 없다. 당신의 광고는 (그리고 당신의 제품도)당신의 고객을 고를 수 있다면 선택했을, 그런 고객의 요구에만 부합하면 된다.
5. '모든 이를 위한 모든 제품(everything to everyone)' 전략을 따르지 않는 경쟁업체 목록을 작성하라. 그런 회사들이 당신 회사를 능가하고 있는가? 충족되고 있지 못한 틈새 시장 가운데 당신이 공략할 만한 (그래서 지배할 수 있는) 시장을 고른다면, 그게 어디일까? 그렇다면 왜 오직 이 시장에만 어필하는 당신 고유의 상품을 개발해서 시장에 뛰어들지 않는가?
6. 선도 업체를 따라가기 위해 당신의 회사는 어떤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가? 그 전략을 버리고 아주 다른 것을 시도한다면 어떻게 될까? 독같이 해서는 따라잡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이제 다르게 함으로써 따라잡을 수 있는 방법들을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