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ASMR #1 - 힐링 사운드 (feat BY-MM1 마이크)


이번에 보야 BY-MM1 마이크를 구입하고 테스트 겸 계곡 소리를 담아 보았다.

가격대비 성능은 만족할만 하다. 다만 액션캠이랑 같이 거치하는 문제가 있지만

자전거 거치용 집게를 이용하여 사용 했다. 나름 쓸만 하다. ^^

앞으로 자연 소리를 녹음해서 올려 볼려고 한다.


힐링 사운드 듣기

유튜브에서 직접 보기 https://youtu.be/Zv6yayuYIgM

유튜브 구독하기 하시면 새로운 게시물을 편히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매개변수와 인수

Android 2018. 11. 13. 14:55
반응형

매개변수와 인수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에서 인수와 매개변수는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은 의미가 다르므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인수(argument)는 함수를 호출하면서 함수로 전달 하는 값을 의미하지만, 매개 변수(parameter)는 함수 선언 안에 있는 변수를 의미한다.

다음 예제를 보자.

fun printSum(a1: Int, a2: Int) { // a1과 a2는 매개변수다

print(a1 + a2)

}

printSum(3, 5) // 3과 5는 인수다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메소드와 함수의 차이

메소드와 함수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함수(function)는 이름을 지정해 호출하는 코드의 조각이다.

메소드(method)는 클래스의 인스턴스(객체)와 연결된 함수를 말하며, 종종 멤버 함수라고도 한다.

간단하게 말해 클래스 안에 있는 함수를 메소드라고 한다.

자바에서는 공식적으로 메소드만 존재하지만 학계에서는 정적 자바 메소드가 실제로는 함수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코틀린에서는 어떤 객체와도 연결되지 않은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고영성 작가 추천 도서

자기계발/에세이: 뼈 있는 아무 말 대잔치
비즈니스: 콘텐츠의 미래
과학: 지구의 정복자
심리: 바른 마음
사회: 냉정한 이타주의자
트렌드: 늦어서 고마워
빅데이터: 모두 거짓말을 한다
교양: 국가는 내 돈을 어떻게 쓰는가
리더십: 무엇이 성과를 이끄는가
투자/재테크: 통섭과 투자
인문: 타인의 영향력
역사: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 ~ 4
경제: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선택
기업가: 볼드
교육: 평균의 종말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2018.10.17 큰 노꼬메 오름 다녀 왔습니다.
제주도 오면 한번쯤은 가 볼 만한 오름 입니다.
난이도는 중상, 별로 높게 안 보이지만 중간에 직선 돌계단은 힘이 좀 듦니다.
지난 주에 다녀 왔는데 억새꽃이 피고 있었습니다.

유튜브에서 직접 보기 https://youtu.be/Vg39DM6jpV4

유튜브 구독하기 하시면 새로운 게시물을 편히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한라산 백록담 다녀 왔습니다.

2018.10.3일에 한라산 백록담 다녀 왔습니다.
날씨가 너무 좋아서 전망이 잘 보였지만 아쉽게 백록담에 물은 많이 없었습니다.
총시간은 8시간 좀더 걸린 것 같습니다.
몇일이 지났는데도 다리가 아프네요. ㅜ.ㅜ


유튜브에서 직접 보기 https://youtu.be/F09CExQTNjk

유튜브 구독하기 하시면 새로운 게시물을 편히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 주식대차거래, 공매도 정의


* 주식대차거래 : 주식을 장기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대여자(통상 은행, 보험회사, 연기금)가 주식을 필요로 하는 차입자(통상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에게 일정한수수료를 대가로 주식을 빌려주고, 차입자는 계약종료시 대여자에게 동종동량의 유가증권으로 상환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거래.
* 주식대차거래는 주로 외국인과 기관에 의해 이루어지며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증권금융, 증권회사에서 대차거래 업무를 취급하고 있음.

* 공매도 : 가격하락을 예상하고 소유하지 않은 유가증권을 매도하거나 차입한 유가증권으로 결제하고자 하는 매도로 향후 저렴한 가격으로 재매입해 상환함으로써 차익을 얻고자 하는 거래. 단, 국내에서는 무차입공매도를 금지하고 있음.

※ 대차거래와 공매도의 관계
* 현재 규정상 무차입공매도를 금지함에 따라 공매도 이전에 대차계약 체결여부에 대한 확인이 있어야함. 이에 따라 장외에서 주식을 대여,상환하는 거래인 대차거래와 빌려온 주식을 장내에서 매도하는 공매도는 상호 연관관계를 가짐.
* 단, 대차거래의 차입자는 차입한 주식으로 공매도 뿐 아니라 매매거래의 결제, 차익 및 헤지거래 등 다양한 투자전략에 활용이 가능하므로 대차거래 잔고가 추후 발생할 공매도 예정수량을 의미하지는 않음.

※ 잔고증감 = 체결(대차)수량 - 상환 수량

잔고금액 = 해당일자 잔고수량 * 해당종목의 당일 종가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템플턴의 가치 투자 전략 4  (0) 2019.07.03
존 템플턴의 가치 투자 전략 3  (0) 2019.06.28
존 템플턴의 가치 투자 전략 2  (0) 2019.06.28
존 템플턴의 가치 투자 전략 1  (0) 2019.06.27
워런 버핏 투자 원칙  (0) 2018.01.06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스티브 잡스 명언

혁신은 1000번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에서 시작 된다.

만약 어떤 일을 순조롭게 진행 했다면

또 다른 멋진 일을 찾아 도전해야지,

그 성공에 너무 오래 안주해서는 안 된다.

- 스티브 잡스 -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아이폰에 있는 음악 컴퓨터로 가져오기 (알송이용)

 

내 아이폰에 있는 음악파일을 내 컴퓨터로 가져 올려고 아무리 아이튠즈 옵션을 찾아 봐도 없어서 황당했던 경험들이 있을 겁니다. 아니 왜 내 파일을 내 컴으로 가져오는 기능이 없을까?

내 컴에 있는 음악파일은 아이튠즈로 옮길 수는 있는데 반대는 왜 안되지 불만이 많이 있었을 겁니다.

저도 찾다가 알송에서 가능 한 것을 알았습니다.

우선 알송을 아래링크에서 다운 받아 설치합니다.

http://www.altools.co.kr/Download/ALSong.aspx

그리고 알송을 실행합니다.

프로그램 왼쪽 밑에 보면 아이폰 음악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아이폰 음악 가져오기 창이 뜹니다.

여기서 저장 경로를 지정해 줍니다. 저는 기본설정으로 그대로 뒀습니다.

그리고 가져올 파일을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장이 완료 되면 폴더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장폴더에 보면 잘 저장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참 쉽죠잉! ㅋㅋ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제주도 산소이장 풍경


2018년 4월 20일 어제 다른 곳에 있던 산소를 문중공동묘지로 이장했습니다.

이제 벌초를 하루에 끝낼 수 있게 편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처음으로 산소이장 하는 과정을 봤는데요.

옮기기 전 산소에서 뼈 수습하는 과정은 공동묘지로 옮길 짐이 있어서 촬영을 못했지만 공동묘지에서 작업하는 과정은 모두 촬영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자동차가 펑크가 나서 타이어 교체 하느라 땀좀 뺐습니다. ㅜ.ㅜ

군대 이후로 처음으로 타이어 교환을 해봤네요. ㅡ.ㅡ?

공동묘지 안쪽에서 입구쪽으로 본 모습니다.

저 뒤에 산은 영주산입니다.

예전에 다녀온 영주산 탐방 포스트는 밑에 링크를 클릭해 보시면 됩니다. ^^

http://comster.tistory.com/645?category=610869


간식을 준비하는 중입니다.

맛있는 찐빵 타임! ㅋㅋ


공동묘지 모습니다. 2천여평 됩니다. 참 넓죠잉!


포크레인으로 산소를 만들 땅을 파는 모습니다.


수습한 뼈가 있는 차에 제를 지내는 모습니다.


땅속에 묻고 상판을 덮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봉분을 만들고 있습니다.


기존에 있던 비석을 가져와서 내리고 있습니다.


무덤에 제를 지내는게 아니라 다른데 제를 지내고 있습니다. 뭐라 하드라 기억이 나지 않네요  ㅡ.ㅡ?


산소 이장이 완료된 모습니다.

이제는 저희가 벌초를 해야 할 묘지가 한군데 빼고는 모두 공동묘지로 이장이 되었습니다.

이제 벌초를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주도에는 벌초라는 문화가 있기 때문에 이장을 많이 합니다.

이장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어릴때는 벌초라는게 맛있는 것도 많이 먹고 걸어 다니면서 많은 추억도 되고 해서 좋았는데 나이가 들수록 즐겁지만은 않네요 ㅜ.ㅜ

밑에 영상은 모든 과정을 촬영한 영상입니다.












반응형

'제주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 노꼬메 오름 다녀왔습니다.  (0) 2018.10.24
한라산 백록담 다녀왔습니다.  (0) 2018.10.06
한라산 국립공원 어리목 코스 탐방  (0) 2018.04.03
감귤 간벌 작업  (0) 2018.02.27
선흘곶 동백동산 탐방  (0) 2018.01.08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