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탭 했을때 화면에 img 에 출력함.

protected override void OnManipulationStarted(ManipulationStartedEventArgs e)

{

     Uri uri = new Uri("http://www.charlespetzold.com/Media/HelloWP7.jpg");

     BitmapImage bmp = new BitmapImage(uri);

     img.Source = bmp;


     e.Complete();

     e.Handled = true;


      base.OnManipulationStarted(e);

}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승리자의 강점은 타고난 재능이나 높은 IQ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의 습성(Aptitude)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태도에 달려있다.
태도는 성공의 기준인 것이다.


-데니스 웨이틀리

반응형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을 원한다면 섬기는 방법을 연구하라.  (0) 2012.10.12
성공을 측정하는 방법  (0) 2012.10.12
만점을 주어라.  (0) 2012.10.11
꽃을 사랑한다면  (0) 2012.10.11
매일 매일 마음의 근육을 키우자.  (0) 2012.10.11
Posted by 컴스터
,

만점을 주어라.

좋은 글 2012. 10. 11. 08:51
반응형

자수성가한 100명의 백만장자들을 조사한 결과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은 한결같이 사람들의 좋은 점만을 본다는 사실이다.


-자크 위즐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꽃을 사랑한다면

좋은 글 2012. 10. 11. 08:50
반응형

꽃을 사랑한다고 말하면서도
꽃에 물 주는 것을 잊어버린 여자를 본다면
우리는 그녀가 꽃을 사랑한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사랑은 사랑하고 있는 자의 생명과 성장에 대한
우리들의 적극적 관심인 것이다.
이러한 적극적 관심이 없으면 사랑도 없다.
(If a woman told us that she loved flowers,
and we saw that she forgot to water them,
we would not believe in her 'love' for the flowers.
Love is the active concern for the life and growth of that which we love.
Where this active concern is lacking, there is no love.)


-에리히 프롬(Erich Fromm)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매일 무슨 옷을 입을까 고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슨 생각을 할까 고르는 법을 배워야해.
그건 네가 얼마든지 기를 수 있는 힘이야.
네가 정말로 네 인생을 통제하고 싶다면 마음을 훈련시켜.
그거야말로 네가 세상에서 유일하게 통제할 수 있는 거니까.


-엘리자베스 길버트,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에서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유대인들의 히브리어에는 희망과 밧줄이라는 뜻을 동시에 가진
틱바(tikvah)라는 단어가 있는데, 그 발상이 재미있다.
희망은 다른 것이 아니라 절체절명의 궁지에 처해있을 때
꽉 붙잡고 살아남기 위한 동아줄과 같다.
이러니 희망은 얼마나 절박한 선택인가?
희망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의 미래도 좌우한다.


-차동엽 신부, ‘대한민국 국격을 생각한다‘에서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맥도날드 직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이렇게 정의한다.
“우리는 햄버거 회사가 아니다.
햄버거를 만드는 사람들의 회사다.”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지만,
중요한 진실이 그 차이 안에 담겨있다.
‘햄버거가 아닌 사람(직원)이 주인공이라는 이야기다.


-데보라 노빌, ‘리스펙트’에서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질그릇을 내기로 활을 쏘면 잘 쏠 수 있지만,
허리띠의 은고리를 내기로 걸고 활을 쏘면 마음이 흔들리고,
황금을 걸고 활을 쏘면 눈앞이 가물가물하게 되느니라.
그 재주는 마찬가지인데 연연해하는 바가 생기게 되면
외물(外物)을 중히 여기게 되니,
외물을 중히 여기는 자는 속마음이 졸렬해지는 것이리라.


-장자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

나는 프랜시스 베이컨의 거미와 꿀벌의 비유를 좋아한다.
그에 따르면, 거미는 자기 힘에 의지해 홀로 일하기 때문에
독밖에 만들어 내지 못한다.
반면 꿀벌은 자연에서부터 가져온 원재료를 가지고 일을 하여
꿀을 만들어낸다.


-제임스 다이슨, ‘계속해서 실패하라’에서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21세기 문맹자는

좋은 글 2012. 10. 10. 08:37
반응형

21세기의 문맹자는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학습하고, 교정하고 재학습하는 능력이 없는 사람이다.
(The illiterate of the 21st century will
not be those who cannot read and write,
but those who cannot learn, unlearn, and relearn.)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

반응형
Posted by 컴스터
,


반응형